전통적으로 자산배분은 주식과 채권을 일정비율 나눠서 자산을 배분하는데 의미를 두고 있습니다. 상관관계가 적은 주식과 채권을 배분하여 주식이 오르면 채권이 떨어지고 하는 식으로 정의를 한겁니다. 그렇게 되면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길게 장기 투자가 가능하다고 본겁니다.
60/40 자산배분 전략
- 주식투자 60/40전략을 대해
- 주식과 채권 비율
- 60/40 자산배분의 유효성
- 60/40 자산배분 수익 성과
- 포트폴리오 평균수익률
- 60/40 투자에 대한 생각
자산배분 60/40 포트폴리오란?
가장 오래된 자산배분 전략중에 하나인 60/40 포트폴리오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이 전략은 전통적인 자산배분 입니다. 주식을 100%로 갖고 진행하는데는 위험 부담과 MDD가 상당히 높은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찾은것이 위험자산과 안전자산, 상관관계가 적은 자산을 섞어서 투자를 하는 겁니다. 주식 투자는 수익률보다는 하락 방어가 중요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하락만 잘 방어해도 성공하는 투자라고 합니다.
그래서 주식을 모두 투자하기 보다는 안전자산을 섞어서 투자는 하니 안정성이 확보가 되는걸 확인했습니다. 근데 비중을 어떻게 하냐에 따라 60/40전략, 70/30전략 등 다양하게 구사할 수 있습니다. 주식이 많은은 공격적이고 채권이 많은면 안정성이 확보됩니다.
그중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이 60/40전략으로 위험을 어느정도 감수하면서 균형감 있게 투자를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60/40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주식 60%, 채권 40% 보유
주식 60%, 채권 40% 기준
- 주식 60%
- 일반적을 주식은 인덱스 지수를 추정하는 S&P500, 전세계 주식, 미국 전체 주식 등 지수를 대표하는 ETF로 구성하여 투자를 하는 방식입니다. 기본적으로 지수를 추정해야지만 안정성이 어느정도 확보되고 소형주나 특정 테마주를 선택한다면 수익을 높을 수 있지만 손실도 상당합니다.
- 채권 40%
- 채권은 기본적으로 국고채나 회사채를 많이 사용하는데, 장기 국채, 중기 국채, 단기 국채 등 다양한 목적의 채권 그룹이 있습니다. 채권의 경우 상당히 보수적인 투자인 만큼 적정하게 배분하는게 중요합니다.
- 다만 장기 채권은 변동성이 상당히 크고 이자율 위험도 큽니다. 그래서 보수적인 투자자들은 중단기 투자를 추천하고 공격적인 투자자라면 장기채권를 투자하는것도 좋은 방향입니다.
- 당연한 말이겠지만 장기채권은 단기채권보다 수익률이 높은건 사실입니다. 그래서 자신에게 맞는 투자법을 찾는게 중요하고 적정하게 흐름에 맞춰 배분하여 투자하는 법도 배워야 할 겁니다.
60/40 자산배분의 유효성 여부
최근 60/40 포트폴리오 전략이 수익이 줄어드는 현상이 있는데 이는 향후 예측되는 시장의 흐름을 알 수 없기에 확답을 할 수는 없습니다. 시장의 방향과 흐름이 바뀌면 수익률에 영향이 상당합니다. 하지만 60/40 전략이 포인트는 상관성이 낮은 자산을 투자하는게 주요하게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채권에 대한 신뢰가 아니라 주식에 대한 상관관계가 주요한 부분입니다. 지금같이 저금리 시대에는 채권 수익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이율이 낮으니 채권 수익이 줄고 이율이 올라가면 수익은 더 줄어 들겁니다.
여기서 생각해야 하는것이 단지 이자율이 낮다고 이자율이 높아 진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이자율은 지속적을 하락하고 있고 낮은 이자율이 무조건 예전의 이자율로 올라가진 않을 거라는 겁니다.
60/40 자산배분 수익 성과
그럼 역사적으로 60/40전략의 수익 성과를 보고자 합니다. 평균적으로 주식 수익은 9%이며 가장좋은 해는 29% 가장 낮은 해는 16%로 나오고 있습니다. 평균 수익이 9%라고 한다면 상당히 높은 수익으로 판단됩니다.
하지만 평균 수익은 어디까지나 과거의 수익입니다. 미래에 수익까지 보장해주는건 아닙니다. 우리가 알고자 하는 것은 투자에 기본 마인드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채권의 비중을 40, 30, 20으로 할건지 선택을 할 수도 있고 전부 주식에만 올인 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자신의 나이와 수익 등을 고려하여 나이가 많을 수록 채권의 비중을 늘리는 방식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자산배분은 자신에게 맞는 방식으로 운영해야 합니다. 자신의 성향과 자산규모, 투자방향, 목적 등이 고려되어야지만 장기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연령별 주식투자 비중
- 20세 투자 비중 : 100% 주식
- 30세 투자 비중 : 90% 주식, 10% 채권
- 40세 투자 비중 : 80% 주식, 20% 채권
- 50세 투자 비중 : 70% 주식, 30% 채권
- 60세 투자 비중 : 60% 주식, 40% 채권
단순한 계산식으로 보일지 모르지만 기본적으로 자신에 나이에 -20을 하면 채권 비중으로 계산하는 방식도 많이 사용하는 방식중에 하나입니다. 다만 여기서 자신의 성향과 자산규모 등 종합적으로 고려를 해야 합니다.
올웨더 투자법
60/40 포트폴리오 평균 수익률
1970년대부터 최근까지 수익률을 보자면 약9% 정도의 수익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2020년 16%, 2019년은 21% 등 수익률이 상당하게 나옵니다. 당연히 마이너스인 해도 있지만 대략 수익이 많이 나는해가 더 많은거 같습니다. 그래서 아직까지는 살아있는 포트폴리오라고 생각하는 이유중 하나입니다.
60/40 투자에 대한 생각
가장 오래되고 전통적인 전략중 하나가 60/40대 전략입니다. 전략의 유효성이 언제까지 갈지는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주식이 방향성이 쉽게 바뀌는 것도 아닐겁니다. 좀 더 길게 본다면 누구나 할 수 있는 투자 방식입니다. 그렇다고 모두가 할 수 있는 투자도 아닙니다.
본인이 장기투자를 생각하고 있다면 일정한 기간을 두고 리밸런싱을 하면 됩니다. 자산 선택도 본인에 맞게 진행하면 되고요. 미국주식을 살건지 세계주식을 산걸지도 말입니다. 채권 역시 장기채권을 사고, 중기 채권을 살지도 결정을 하면 됩니다.
여기서 일년에 한번이나 두번정도 리밸런싱을 한다고 하면 거래 수수료도 상당히 줄일수 있습니다. 장기투자의 관점에서는 거래수수료와 세금 등이 가장 큰 부분입니다.
이렇게 다양하 시각에서 60/40 전략을 살펴 봤습니다.
결정은 자신의 몫이지만 공부는 꼭 필요한거 같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투자법을 찾아 성공투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