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표에 자동으로 숫자 채우기

한글을 사용하다 보면 엑셀에서 이용하는 기능인 (한글 표 자동 채우기)으로 숫자를 채우는 기능을 없다고들 생각합니다. 하지만 정작 한글에도 엑셀처럼 숫자를 자동으로 채우는 기능을 지원합니다. 숫자를 자동을 채우는 기능은 같은 숫자를 지정하기도 하고, 연속으로 증가하면서 채울수 도 있습니다.

한글 표 자동 채우기

  1. [ 단축키 이용 자동 채우기 ]
    • 작성중인 한글 표로 이동합니다
    • 내가 원하는 숫자 입력 표를 드래그해서 영역을 선택
    • – 첫칸에 1, 2 입력, 드래그하고 A 키를 누르면 전체 자동채우기
  2. [ 대화창을 이용 자동 채우기 ]
    • 작성중인 한글 표로 다시 이동
    • 증가하는 숫자를 두 개 채움 (1, 2, 3 ….)
    • 드래그인하고 오른쪽 마우스 [ 채우기 -> 표 자동채우기 ]


엑셀에서만 가능하다고 생각하던 작업을 한글에서 할 수 있다는게 생소하지만 그래도 가능한 작업입니다. 한글문서에서 작성하는 표의 일부 셀에 규칙적인 숫자를 자동으로 채우는 작업을 하는 겁니다. 당연히 아라비아 숫자가 대표적을 적용될 겁니다.

1. 한글 문서 표 작성

한글 문서에서 일단 표를 작성합니다. 표는 [입력] – [표] – [표만들기] 로 작성하는 하는데 간단히 작성하시면 됩니다. 샘플로 이용할 계획으로 보기 좋게 만들면 됩니다. 연습용으로 사용하는 표이므로 너무 복잡하게 만들지는 말고 진행을 합니다.

문서 표 숫자 자동채우기 (1)

2. 한글 문서 표에 데이터 입력

문서 표가 작성이 되면 첫 번째 셀에 “1”을 입력을 합니다. 그리고 다음으로 진행할 셀로 이동하여 “2”를 입력을 합니다. 해당 숫자는 증가하는 규칙성을 확보하기 위한 겁니다. 한글 표에 입력할 셀에 드래그인을 하여 설정을 합니다. 드래그인은 원하는 구역까지만 설정을 해야 합니다.

문서 표 숫자 자동채우기 (1)
[ 한글 유용한 기능 모음 ]
한글 그림 겹치기 방법
한글 각주 다는법 및 설정
한글 글자 겹치기 방법
한글 워터마크 삽입 및 지우기

3. 표 자동으로 채우기 [ 단축키 ]

다음은 [ A ] 키를 누르면 됩니다. 해당 키를 누르게 되면 자동으로 규칙적을 데이터 값이 입력됩니다. 생각보다 간단하게 진행이 가능합니다. 한글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인식하여 처리가 되는 거 같습니다. 칸으로 채우거나 줄로 채우거나 전체로 채울 수도 있습니다.

[ 한글 표 자동 숫자 채우기 ]
1. [입력] – [표 만들기] 실행 표 만들기
2. 표에 첫번째 셀에 “1” 입력, 다음 셀 “2” 입력
3. 표 전체 셀 블록 지정
– [A] 키를 눌러 자동채우기
– 오른쪽 마우스로 [ 표 자동 채우기] 실행
4. 정상 입력 확인
문서 표 숫자 자동채우기 (1)

4. 한글 표 자동으로 숫자 채우기

다음은 [표 자동 채우기] 기능을 활용한 작업을 알아 보겠습니다. 단축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작업입니다. 작업은 위의 단계와 동일하게 처리를 하면됩니다. 하지만 예시는 다르게 적용해서 진행을 하겠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연도 작업할 때 사용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우선 작성중인 표에 자신이 원하는 숫자를 입력 합니다. 여기서는 연도를 기반으로 진행하겠습니다. (2002년, 2003년, …….) 연속되는 연도를 다음에 입력을 합니다. 그리고 입력하고자 하는 셀 전체를 블록으로 선택을 합니다. 셀 선택이 전체라고 표현 했지만 원하는 블록만 지정하면 됩니다.

블록이 선택이 되면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면 [ 표 자동 채우기 ] 메뉴가 나오는데 이부분을 클릭합니다. 특별한 오류 사항이 아니면 자동으로 데이터가 입력이 됩니다.

문서 표 숫자 자동채우기 (1)

한글 자동 숫자 채우기

이렇게 자동으로 표를 채우는 기능을 알아 봤습니다. 정말 간단하지만 알지 못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내용을 작성하다 보니 저도 많이 사용 못하던 기능이어서 아쉬움이 많네요. 하지만 지금이라도 한글 자동 숫자 채우기 기능을 활용하니 쉽게 문서 작성이 이루어 집니다.

연속되는 숫자를 사용하기에는 정말로 편합니다. 단순하지만 이용하는 사람에 따라 쉽게 접근이 가능하니 유용한 기능인거 같네요. 기능에 대한 이해도가 있다면 쉽게 접근이 가능합니다.